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의 프로 기사들이 참가하는 국제 바둑 대회이다. 대회 방식은 개인전인 세계프로 최강전, 단체전, 남녀 페어 초청전, 국내 프로 토너먼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대회별로 제한 시간, 대국 규정, 상금 등이 다르다. 세계프로 최강전은 2018년부터 개최되었고, 2024년 대회에서는 라이쥔푸가 우승했다.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는 단체전과 페어전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단체전은 초기에는 대한민국과 중국 간의 대결이었으나, 이후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 4개국 참가 토너먼트로 변경되었다. 1~2회 대회는 양국이 5명(2회는 3명)씩 세 번 대결했고, 3회부터는 4개국이 각 3명씩 토너먼트를 진행했다.
2. 대회 방식
페어전은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 각 1개 조가 리그전을 치렀으나, 3회부터 토너먼트전으로 변경되었다.
제한 시간은 1~5회 대회는 각 1시간 및 60초 초읽기, 페어전은 각 30분이었다. 6회부터는 각 30분, 40초 초읽기 3회로 변경되었다.
2. 1. 세계프로 최강전
세계프로 최강전은 초청전 형식으로,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의 정상급 프로 기사들이 참가하는 개인전이다. 16강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자를 가린다. 5회 대회부터 16강 본선에는 한국 7명, 중국 3명, 일본 3명, 대만 2명, 와일드카드 1명이 참가한다. 각자 30분에 초읽기 40초 3회가 주어진다.
2. 2. 단체전
제1~2회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 단체전은 대한민국과 중국 대표팀 간의 대결로 진행되었다. 1회 대회는 5:5, 2회 대회는 3:3 대항전으로 총 3번의 경기가 치러졌다. 제3~4회 대회부터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 4개국 대표팀이 참가(각 3명)하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회차 | 년도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1 | 2014 | ||||
2 | 2015 | ||||
3 | 2016 | ||||
4 | 2017 |
- 1~2회 대회는 대한민국과 중국이 5명(2회는 3명)씩 팀을 이루어 세 번 대결하였다. 3회 대회부터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 대만이 각 3명씩 팀을 이루어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 제한 시간은 1~5회 대회까지는 각 1시간에 60초 초읽기, 페어 바둑전은 각 30분이었다. 6회 대회부터는 각 30분에 40초 초읽기 3회로 변경되었다.
- 제1전 (2014년 8월 9일, 영암군)
- * 대한민국 3 - 2 중국
- * 이세돌 × - ○ 퉈자시
- * 박정환 × - ○ 천야오예
- * 강동윤 ○ - × 돤샤오
- * 김승재 ○ - × 탕웨이싱
- * 김현찬 ○ - × 추쥔
- 제2전 (2014년 8월 10일, 강진군)
- * 대한민국 3 - 2 중국
- * 이세돌 ○ - × 퉈자시
- * 박정환 ○ - × 천야오예
- * 강동윤 × - ○ 돤샤오
- * 김승재 × - ○ 추쥔
- * 김현찬 ○ - × 탕웨이싱
- 제3전 (2014년 8월 11일, 신안군)
- * 대한민국 1 - 4 중국
- * 이세돌 × - ○ 퉈자시
- * 박정환 ○ - × 돤샤오
- * 강동윤 × - ○ 탕웨이싱
- * 김승재 × - ○ 천야오예
- * 김현찬 × - ○ 추쥔
2. 3. 남녀 페어 초청전
한국, 중국, 일본, 대만의 대표 선수들이 2인 1조 페어를 이루어 참가하는 대회이다. 1~2회 대회는 리그전, 3~4회 대회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5회 대회에서는 각국 선수들이 다른 나라 선수와 팀을 이루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나, 6회 대회부터 다시 자국 선수끼리 페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2회 대회에서는 리그전 방식으로 순위가 결정되었는데, 9단· 7단 페어, 赵大元|자오다위안중국어 9단·장월연 5단 페어, 조훈현 9단·오정아 3단 페어가 2승 1패로 동률을 이루어 공동 1위가 되었다.
회차 | 국가 | 선수1 | 선수2 | 결과 |
---|---|---|---|---|
1 | 赵大元|자오다위안중국어 9단 | 장월연 5단 | 2승 1패 | |
1 | 대한민국 | 조훈현 9단 | 오정아 3단 | 2승 1패 |
1 | 9단 | 7단 | 2승 1패 | |
1 | 일본 | 무궁 마사키 9단 | 万波奈穂|만파 나오일본어 3단 | 3패 |
2. 4. 국내 프로 토너먼트
세계프로 최강전 참가자를 제외한 국내 프로 기사들이 참가하는 대회이다. 5회 대회부터 신설되었으며, 예선을 거친 27명과 시드 5명을 포함한 32강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가린다. 대회의 제한 시간은 각자 30분에 초읽기 40초 3회이다.3. 대국 규정
제한 시간은 1~5회 대회에서는 각자 1시간, 다 쓰면 60초 초읽기를 적용했고, 페어 바둑전은 각 30분이었다. 6회 대회부터는 각자 30분, 초읽기 40초 3회로 변경되었다.
4. 상금
10회 대회(2024년) 기준 세계프로 최강전의 우승 상금은 1억원, 준우승 상금은 4000만원이다. 4강 패자에게는 1500만원, 8강 패자에게는 700만원, 16강 패자에게는 300만원이 주어진다. 8~9회 대회의 우승 상금은 7500만원, 준우승 상금은 2500만원이었다. 4강 패자는 800만원, 8강 패자는 400만원, 16강 패자는 250만원을 받았다.
7회 대회까지 세계프로 최강전의 우승 상금은 5000만원, 준우승 상금은 1500만원이었다. 국내프로 토너먼트의 우승 상금은 2500만원, 준우승 상금은 1000만원이다. 남녀페어 초청전의 우승 상금은 2000만원, 준우승 상금은 1000만원이다.
2014년 대회에서는 단체 대항전 우승 상금이 1억원(2위 4000만원), 페어 바둑전 우승 상금이 3000만원(2위 1500만원)이었다. 2015년 대회에서는 단체 대항전 우승 상금이 6000만원(2위 3000만원), 페어 바둑전 우승 상금이 2000만원(2위 1000만원)이었다.
5. 역대 대회 결과
국수산맥 국제바둑대회는 2014년부터 매년 개최되고 있다. 초창기에는 대한민국, 중국, 일본, 중화 타이베이 4개국의 단체전과 페어 바둑전으로 진행되었으나, 이후 세계 프로 최강전, 국내 프로 토너먼트 등의 개인전이 추가되었다.
1회 대회에서는 단체 대항전에서 중국이 한국을 8-7로 꺾고 우승했고, 페어 바둑전에서는 조훈현·오정아 페어(한국), 차오다위안·장웨란 페어(중국), 린하이펑·헤이자자 페어(중화 타이베이)가 공동 1위를 차지했다. 2회 대회에서는 한국이 단체 대항전에서 중국을 5-4로 꺾고 우승했다.
3회 대회부터 단체 대항전과 페어 바둑전의 순위가 결정되었다. 단체 대항전에서는 한국이 1위, 중국이 2위, 중화 타이베이가 3위, 일본이 4위를 기록했고, 페어 바둑전에서는 이창호·오유진 페어(한국)가 1위를 차지했다. 4회 대회에서는 중국이 단체 대항전 1위, 한국이 2위를 기록했고, 페어 바둑전에서는 이창호·오유진 페어(한국)가 다시 한번 1위를 차지했다.
5회 대회부터는 세계 프로 최강전이 신설되어 개인전이 추가되었다. 5회 대회 세계 프로 최강전에서는 박정환 九단(한국)이 왕위안쥔 八단(중화 타이베이)을 꺾고 우승했다.
2016년 대회는 8월 3일부터 5일까지 전라남도 강진군에서 개최되었다. 우승 상금은 단체 대항전 5000만원(2위 2000만원), 페어 바둑전 2000만원(2위 1000만원)이었다.
5. 1. 세계프로 최강전
회수 | 연도 | 우승 | 전적 | 준우승 |
---|---|---|---|---|
5 | 2018 | 박정환 九단 | 1-0 | 왕위안쥔 八단 |
6 | 2019 | 천야오예 九단 | 1-0 | 랴오위안허 八단 |
7 | 2021 | 변상일 九단 | 1-0 | 신진서 九단 |
8 | 2022 | 신진서 九단 | 1-0 | 변상일 九단 |
9 | 2023 | 신민준 九단 | 1-0 | 신진서 九단 |
10 | 2024 | 라이쥔푸 八단 | 1-0 | 신진서 九단 |
5. 2. 단체전
회차 | 년도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1 | 2014 | | | |||
2 | 2015 | | | |||
3 | 2016 | ||||
4 | 2017 |
5. 3. 남녀 페어 초청전
순위 | 국가 | 선수명단 | 전적 |
---|---|---|---|
공동 1위 | 대한민국 | 조훈현 · 오정아 | 2승 1패 |
공동 1위 | 중국 | 차오다위안 · 장웨란 | 2승 1패 |
공동 1위 | 대만 | 린하이펑 · 헤이자자 | 2승 1패 |
4위 | 일본 | 다케미야 마사키 · 만나미 나오 | 3패 |
2회(2015)
1, 2회 대회는 리그전으로 치러졌다.
회수 | 연도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3 | 2016 | 이창호, 오유진 | 요다 노리모토, 셰이민 | 저우쥔쉰, 위리쥔 | 창하오, 위즈잉 |
4 | 2017 | 이창호, 오유진 | 천스위안, 헤이자자 | 쿵제, 위즈잉 | 류시훈, 우에노 아사미 |
5 | 2018 | 이창호, 루민취안 | 왕레이, 헤이자자 | 다카오 신지, 오유진 | 린즈한, 셰이민 |
6 | 2019 | 왕리청, 위리쥔 | 위빈, 가오싱 | 유창혁, 허서현 | 야마다 기미오, 쓰지 하나 |
5. 4. 국내 프로 토너먼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